반응형
귀찮다고 넘어갈게 따로 있지.. 스케일이 다른 집 계약에서 호갱이 되면 절대 안돼요! 남이 당한 사기.. 내가 주인공이 되지 않으려면? 집구하기 왕왕왕초보를 위한 가이드를 꼭X10 참고하세요.
집 계약하기 전, 필수 체크사항 4가지
-필수 체크사항 4가지-
1.전임차인의 계약만료기간
전에 살던 사람(전임차인)이 이사 가는 날짜. 즉 계약 만료기간을 꼭 확인해야 해요.
당연하다고 생각했다가는 이삿짐을 들이지도 못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으니 꼬~옥! 확인해주세요.
2.관리비, 공과금 정산
공과금, 관리비 고지서는 한 달 단위로 나오기 때문에, 입주하는 날 전 임차인이 쓴 부분의 금액을 받아두거나, 공과금 고지서가 나온 후에 돌려받는 과정이 필요해요.
관리비에 공과금은 어디까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도 필수! 관리비에 공과금 포함/불포함 여부에 따라 매달 생활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면 좋겠죠?
3.집의 상태, 제대로 된 수리여부 확인
육안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은 물론이고, 찾아갈 당시에는 미처 확인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신경 써야 해요.
예를 들면, 여름에 계약해서 잘 살다 겨울에 보일러가 잘 돌아가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라든지, 아니면 가구를 치우니 나타나는 낙서들! 아니면 물이 잘 나오고 변기에 물이 잘 내려가는 것까지 확인했지만, 배수구가 잘 내려가지 않아 생기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어요.
4.집의 옵션 확인
기본으로 들어가 있는 가구는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주세요. 계약하기 전 집을 둘러볼 때, 구도를 그려놓거나, 사진을 찍어놓으면 편합니다.
전 임차인이 살고 있어 사진을 찍을 수 없다면, 집주인에게 옵션인 가구는 어디까지인지 꼭 확인하세요!
-집 주인에 대한 체크도 필수-
혹시 계약하려는 사람이 정말 집주인이 맞나요? 눈뜨고 코 베이는 세상, 여러분이 본 사람이 정말 집주인이라고 해도 그 사람의 신용에 대해 파악해야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답니다.
만약 집주인의 건물 담보의 부채가 있어서 건물이 경매로 넘어가게 된다면 전세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고 길거리에 내앉을 수도 있으니 꼼꼼히 알아봐야겠죠?
보통 등기부등본은 계약 시 중개업자가 뽑아주지만, 그 전에 알고 싶거나 직접 확인하고 싶은 경우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 (www.iros.go.kr) 에서 (열람 700원, 발급 1000원) 확인 가능합니다.
+확인 할 사항+
[표제부] 계약서 상의 주소=등기부등본상의 주소=실제 거주할 집의 주소
[갑구] 권리자=집주인. 가능하면 직접 만나서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과 실물을 확인하세요.
[을구] 주택 관련 담보 부채가 있는지 확인해주세요.
-계약서에 관하여-
이렇게 꼼꼼히 따져도 막상 계약서가 손에 들어오면 무슨 말인지 모를 이야기들만 쓰여있는 기분일 거에요.
법무부 홈페이지에 주택임대차 표준계약서를 다운받을 수 있으니 계약 전에 확인하시고 여러분이 받은 계약서와 다른 부분이 있는지, 어떻게 다른지 반드시 확인해주세요.^^
반응형
'일상 > 스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금 안전하게 돌려받는 3가지 방법 (0) | 2020.01.06 |
---|---|
드라마 공백 10년 이상이었던 배우들 5 (0) | 2020.01.06 |
새해엔 이색 취미를! (0) | 2020.01.06 |
대학생활의 이상과 현실 [공대 편] (0) | 2020.01.06 |
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새해 결심 TOP10 (0) | 2020.01.06 |
댓글